IEC 60870 5-101
IEC 60870 5-101 슬레이브는 60870 5-101 프로토콜을 이용해 외부 시스템과 인터페이스에 사용 됩니다. IEC 60870 5-101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시리얼 기반의 통신 환경에서 사용 합니다. 데이터 익스체인지의 경우 TCP/IP기반의 네트워크 환경과 시리얼 기반의 환경 모두 지원합니다. IEC 60870 5-101 프로토콜은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 전력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폴링 기반의 모드버스 프로토콜과는 다르게 주기적으로 마스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리포트 기능과 데이터 변경 시 이벤트를 마스터로 통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
지원 오브젝트
데이터 익스체인지 IEC 60870 5-101 슬레이브에서 지원하는 오브젝트는 다음과 같습니다.
타입 ID |
설명 |
1: M_SP_NA_1 |
Single-point information |
3: M_DP_NA_1 |
Double-point information |
5: M_ST_NA_1 |
Step position information |
9: M_ME_NA_1 |
Measured value, normalized value |
11: M_ME_NB_1 |
Measured value, scaled value |
13: M_ME_NC_1 |
Measured value, short floating point number |
15: M_IT_NA_1 |
Integrated totals |
45: C_SC_NA_1 |
Single command |
46: C_DC_NA_1 |
Double command |
47: C_RC_NA_1 |
Regulating step command |
48: C_SE_NA_1 |
Set point command, normalized value |
49: C_SE_NB_1 |
Set point command, scaled value |
50: C_SE_NC_1 |
Set point command, short floating point number |
가상 디바이스 추가
1. 데이터 익스플로어에서 '가상 디바이스' 항목을 선택 후 추가 합니다.
2. 프로토콜 타입에서 'IEC 60870 5-101'를 선택 합니다.
3. '60870 5-101'그룹에서 관련 설정 항목을 입력 합니다.
(1) 디바이스 주소 |
데이터 링크 주소를 입력 합니다. |
(2) ASDU 주소 |
Slave의 ASDU 주소를 입력 합니다. |
(3) 디바이스 모드 |
데이터 익스체인지 '101 슬레이브'는 멀티드롭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Balanced 통신 사용을 권장 합니다. |
(4) 리포트 주기 |
리포트 데이터 전송 주기를 설정 합니다. 리포트는 마스터 요청이 없어도 슬레이브에서 마스터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 하는 기능을 말합니다. |
(5) 디바이스 주소 크기 |
데이터 링크 주소 필드의 크기(Byte)를 입력 합니다. |
(6) COT 크기 |
COT (Cause of Transmission) 필드 크기(Byte)를 설정 합니다. |
(7) ASDU 주소 크기 |
ASDU 주소 필드의 크기(Byte)를 입력 합니다. |
(8) 데이터 정보 크기 |
데이터 어드레스 주소 필드의 크기(Byte)를 입력 합니다. |
(9) 기본값 |
설정 값을 기본 값으로 되돌립니다. |
(10) 어플리게이션 시간 제한 |
데이터 링크 레이어 타임 아웃 설정 값 입니다. 데이터 송신 완료 후 101 마스터로부터 Confirm 수신까지 대기 시간 입니다. 설정 시간 내에 Confirm을 받지 못하면 통신 오류 처리 합니다. |
기타 항목은 '가상 디바이스 설정' 을 참고하여 입력 합니다.
가상 상태 포인트
주요 기능
상태 포인트나 아날로그 포인트를 연결해 연결한 포인트 값을 디지털 형태로 읽고/쓰는데 사용 합니다.
포인트 추가 방법
포인트 추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(1) 오브젝트 종류 |
연계할 데이터 형식을 지정 합니다.
|
||||||||||||||
(2) 계측 그룹 |
계측 그룹을 설정 합니다. 계측 그룹을 설정하면 마스터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계측 그룹 번호로 데이터를 읽어 올 수 있습니다. |
||||||||||||||
(3) 이벤트 사용 |
|
||||||||||||||
(4) Global Interrogation 사용 |
|
||||||||||||||
(5) SBO 사용 |
|
||||||||||||||
(6) 리포트 사용 |
리포트 기능은, 데이터 값을 주기적으로(리포트 설정 주기에 따라) 마스터로 전송 하는 기능입니다. '리포트 사용' 체크 시 해당 포인트의 값을 리포트 전송 시 포함 합니다. |
||||||||||||||
(7) 주소 |
해당 데이터의 주소(Address)를 입력 합니다. 주소는 오브젝트 종류에 관계 없이 고유 해야 합니다. |
기타 항목은 '가상 상태 포인트 설정' 을 참고하여 입력 합니다.
입력 예)
가상 아날로그 포인트
주요 기능
상태 포인트나 아날로그 포인트를 연결해 연결한 포인트 값을 아날로그 형태로 읽고/쓰는데 사용 합니다.
포인트 추가 방법
포인트 추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(1) 오브젝트 종류 |
연계할 데이터 형식을 지정 합니다.
|
||||||||||||||||
(2) 계측 그룹 |
계측 그룹을 설정 합니다. 계측 그룹을 설정하면 마스터 프로그램에서 계측 그룹 번호로 데이터를 읽어 올 수 있습니다. |
||||||||||||||||
(3) 리포트 사용 |
리포트 기능은, 데이터 값을 주기적으로(리포트 설정 주기에 따라) 마스터로 전송 하는 기능입니다. '리포트 사용' 체크 시 해당 포인트의 값을 리포트 전송 시 포함 합니다 |
||||||||||||||||
(4) 이벤트 사용 |
|
||||||||||||||||
(5) Global Interrogation 사용 |
|
||||||||||||||||
(6) 주소 |
해당 데이터의 주소(Address)를 입력 합니다. 주소는 오브젝트 종류에 관계 없이 고유 해야 합니다. |
||||||||||||||||
(7) 상.하한 허용치 |
포인트에서 발생한 알람을 '이벤트'로 사용하려면 (6)번 항목을 입력 하지 않습니다. |
입력 예)